•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한방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거위
  • 거위

    식품명 거위
    식품코드 100174
    분류 부식 > 구이류 > 구이
    발행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지명 한의학고전DB
    권호 卷65 編輯外科心法要訣 > 齒部 > 走馬牙疳

h2mark 문헌(논문)명

의종금감_외과심법요결(醫宗金鑑_外科心法要訣)

h2mark 저자

오겸 (吳謙)

h2mark 효능/처방전

此證多由癖疾積火, 疹痘餘毒上攻, 最爲迅速.
總因積火熱毒而成.
牙根作爛, 隨變黑腐, 臭穢難聞.
若癖積毒火攻牙者, 初宜服蘆消疳飮;脾胃虛者, 兼服人參茯粥.
若疹痘餘毒所中者, 宜服淸疳解毒湯.
外勢輕者, 俱用溺白散擦之.
若堅硬靑紫, 漸腐穿齒搖者, 宜蘆散擦之;如牙縫黑腐不盡, 及腐爛深坑, 藥不能到, 宜用勒馬聽徽絲塞之, 再用手法, 去其黑腐, 內見紅肉流鮮血者吉.
若取時頑肉難脫, 堅硬腐爛漸開, 以致穿破脣, 宜貼靑蓮膏, 身熱不食者逆.
但此證惟癖積攻牙成疳者, 好後易犯, 由積火時時上攻也.
惟在調理飮食得宜, 如山藥ㆍ粟子ㆍ鵝ㆍ蟹ㆍㆍ辣等物, 俱當禁忌.
若稍有疏忽, 必致復發, 愼之, 愼之.
이 증상은 벽질(癖疾)로 화가 쌓이거나 마진(痲疹)이나 두창(痘瘡)의 여독(餘毒)이 상부를 공격하여 발생하는데, 병의 경과가 아주 신속하다.
모두 화(火)가 쌓이거나 열독(熱毒)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이뿌리가 짓무르고 곧 검게 변하고 썩어서, 더러운 냄새가 나서 맡기조차 어렵다.
벽적(癖積)으로 인한 독화(毒火)가 치아를 공격하는 경우에, 초기라면 노회소감음(蘆消疳飮)을 복용해야 하고, 비위(脾胃)가 허한 경우는 인삼복령죽(人參茯粥)을 함께 복용한다.
마진이나 두창의 여독(餘毒)이 침입한 경우는 청감해독탕(淸疳解毒湯)을 복용해야 한다.
겉에 드러난 병의 형세가 가벼운 경우는 모두 요백산(溺白散)으로 문지른다.
단단하고 청자색을 띠며 점차 썩어 뺨을 뚫고 들어가고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는 노회산(蘆散)으로 문지른다.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가 검게 썩은 것이 다 사라지지 않은 것과 썩고 짓물러져 깊은 구멍이 생겨 약이 닿지 않을 때는 늑마청휘사(勒馬聽徽絲)로 막은 뒤, 다시 수법(手法)으로 검게 썩은 것을 제거하는데, 속에 붉은 살이 보이고 선혈(鮮血)이 흐르는 경우는 길하다.
수법(手法)으로 제거할 때 썩은 살이 끈질겨 빠지지 않고 단단하면서 썩고 짓무르며 점점 벌어져서 뺨에 구멍이 뚫리고 입술이 터진 경우는 청연고(靑蓮膏)를 붙이는데, 몸에 열이 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경우는 역증이다.
다만 이 증상은 벽적(癖積)이 치아를 공격하여 감병(疳病)이 된 경우에만 증세가 좋아진 뒤에도 쉽게 재발되는데, 쌓인 화(火)가 수시로 상부를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때의 회복은) 오직 올바른 몸조리와 식생활에 달려 있으니, 산약ㆍ밤ㆍ거위ㆍ게ㆍ단 것ㆍ매운 것 등을 모두 금기해야 한다.
조금이라도 소홀하면 반드시 재발할 것이니 조심하고 조심해야 한다.

h2mark 년도

1742

h2mark 기타

권61-7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71
한방백과 5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2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