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求嗣之, 全責於尺. 右旺火動, 左旺陰虛. 宜滑忌瀕. 男子微弱而, 精氣淸冷也. 宜固本健陽丹, 五子衍宗丸. ○婦人無子, 多由血少不能精. 宜調經種玉湯, 鼓動微陽, 煖宮斯丸. 氣血大虛, 不能懷孕, 十四味建中陽勞, 加木丹 山茱 乾干 砂仁 艾葉. 干, 召. 限百貼. 又催孕丸. ○胞中虛冷, 戊戌酒. ○血虛陰虛, 六味元庄. ○多喪嗣續, 心經虛炅, 思慮火盛. 歸脾湯神, 地黃元庄, 朝暮服. ○肥人痰多, 或導痰湯, 或四物, 加星 夏 芎 滑石 防己 羌活 行濕燥痰. ○血山不精, 養榮丸, 一湯, 濟丹, 溫經湯, 加味益母丸. ○후사를 구하는 맥은 오로지 척맥에 달려있다. 우척맥만 왕성하면 화가 동하고, 좌척맥만 왕성하면 음허하다. 오직 침활하여야 하며 지빈(瀕)하지 않아야 한다. 남자의 맥이 미약하면서 껄끄러우면 정기가 차다. 고본건양단ㆍ오자연종환을 써야 한다. ○부인이 자식이 없는 것은 대부분 혈이 부족하여 정(精)을 거두지 못하기 때문이다. 조경종옥탕을 써야한다. (부인의) 양기가 약하면 북돋워야 하니 난궁종사환을 쓴다. 기혈이 크게 허하면 아이를 잉태할 수 없으므로 십사미건중탕노권문에 모란[木丹] 산수유 건강 사인 애엽을 더하고 생강 대추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100첩까지만 먹는다. 또는 최잉환을 쓴다. ○태중이 허냉하면 무술주를 마신다. ○혈허ㆍ음허인 경우에는 육미지황원오장문을 쓴다. ○계속해서 후사를 잃는 일이 많은 것은 심경이 허하고 열이 있거나, 생각에 화(火)가 성하여서 그런 것이다. 귀비탕신문ㆍ지황원오장문을 아침 저녁으로 먹는다. ○살찐 사람이 담이 많은 경우에는 도담탕을 먹거나 사물탕에 남성 반하 천궁 활석 방기 강활을 더하여 쓴다. 습을 잘 통하게 하고 담을 말려야 한다. ○혈이 높아 정을 거두지 못하는 경우에는 양영환ㆍ당일탕ㆍ제음단ㆍ온경탕ㆍ가미익모환을 써야 한다.
년도
미상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