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三陽病深, 必變爲陽毒, 或有失於汗下, 或本陽證, 誤投熱藥, 使熱毒入深, 發爲狂亂, 面赤眼紅, 身發斑黃, 或下利黃赤, 脈洪大, 名曰陽毒發斑, 宜白虎湯. 《醫鑑》 ○傷寒三陰病深, 必變爲陰毒, 其證四肢厥冷, 吐利不渴, 靜而臥, 甚則咽痛鄭聲, 加以頭痛頭汗, 眼睛內痛, 不欲見日光, 面脣指甲靑黑, 手背冷汗, 心下結硬, 臍腹築痛, 身如被杖, 外腎氷冷, 其脈附骨取之則有, 按之則無, 宜甘草湯. 《入門》 ○實則語, 虛則鄭聲. 語者, 爲亂語無次第, 數數更端也. 鄭聲者, 爲鄭重煩數也, 只將一句舊言, 重疊頻言之也. 《難經》 상한의 삼양병이 깊어지면 반드시 양독으로 변한다. 한법이나 하법을 잘못 썼거나, 본래 양증인데 뜨거운 약을 잘못 투여하여 열독이 깊이 들어가서 발광하고, 얼굴과 눈이 붉어지고 몸에 누런 반점이 생기며, 황적색의 설사를 하고 맥이 홍대(洪大)한 경우를 양독발반(陽毒發斑)이라고 한다. 백호탕을 써야 한다. 《의감》 ○상한에 삼음병이 깊어지면 반드시 음독으로 변한다. 그 증상은 팔다리가 싸늘하고 토하며 설사하는데도 갈증이 없으며, 조용히 몸을 구부린 채 눕는데, 심하면 목구멍이 아프고, 이미 했던 말을 반복하며 말하는 것이다. 게다가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서 땀이 나며, 눈알 속이 아파서 햇빛을 보려하지 않으며, 얼굴ㆍ입술ㆍ손발톱이 검푸르게 되고 손등에서 식은땀이 나며, 명치가 뭉치고 단단하며, 배꼽 부위가 툭툭 튀듯 아프며, 몸이 몽둥이로 맞은 것처럼 아프고 외신(外腎)이 차며, 맥을 뼈에 닿도록 누르면 잡히지만 그냥 누르면 맥을 느낄 수 없다. 감초탕을 써야 한다. 《입문》 ○실하면 섬어증이 되고, 허하면 정성증이 되니, 섬어란 두서없이 요란하게 말을 하고 자주 이야기의 화제를 바꾸는 하는 것이다. 정성은 말을 계속 반복하는 것인데, 이미 했던 말을 반복하여 자꾸 반복하여 말하는 것이다. 《난경》
년도
1922
기타
6卷3冊: 圖, 四周雙邊 半郭 20.3 x 15.2 cm, 有界, 10行22字 註雙行, 上下白口, 上下2葉花紋魚尾; 29.2 x 19.5 cm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