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是血氣內虛, 風痰盛而成. 頭項直, 身炅, 口, 背反張. 手急, 脚如弓, 絃急, 是也. 開目無汗者, , 閉目有汗者, 柔也. ○凡傷寒雜症, 汗後入風, 及濕家瘡家, 大發汗, 崩中産後去血過多, 諸瘡未合觸風, 或湯洗艾灸, 皆成此疾. 亦名破傷風也. ○身凉肢冷, 細者, 名陰. 眼牽, 手足戟伸縮者, 風. 俱三養榮湯一. 喘嗽生痰者, 名痰火, 瓜枳湯二. ○瘡口未合初中風, 用水調膏三, 貼之. ○入水, 口直者, 付以牡蠣末, 仍以甘草湯調二. ○發汗多成, 防風當散四. ○初中反張, 須欲死者, 用蝎梢 天麻末 每二, 豆淋酒調服, 化痰開. ○亡血多成, 當地黃湯五. ○破傷風, 蝎梢七介, 爲末, 酒調服. 凡患破傷風, 非此不能除. ○대개 안으로 혈기가 허한데 풍담이 성해진 경우에 생긴다. 목덜미가 뻣뻣하고 몸이 뜨거우며 입을 악다물고 등이 뒤로 젖혀진다. 손은 경련하고 다리가 활처럼 굽고 맥이 현급하다. 눈을 뜰 수 있으나 땀이 없는 것이 강치()이고, 눈이 떠지지 않으면서 땀이 나는 것이 유치(柔)이다. ○상한으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한법을 쓴 후 풍사(風邪)가 든 경우이거나 평소 습이 많거나 창이 있는 사람이 땀을 많이 낸 경우, 붕루(崩漏)나 출산(出産)으로 피를 많이 쏟은 경우, 창의 상처가 아물기 전에 풍사(風邪)에 감촉된 경우, 또는 탕약으로 씻거나 쑥으로 뜸뜬 경우에 모두 치병이 될 수 있다. 파상풍이라고도 한다. ○몸과 사지가 차며 맥이 침세한 경우는 음치(柔)라고 하고, 눈과 입이 당기고 손발을 떨면서 굽혔다 폈다 하는 경우를 풍치(風)라고 한다. 모두 삼귀양영탕처방1을 쓴다. 기침을 하고 가래가 생기는 경우는 담화치(痰火)라고 하며 과루지실탕처방2을 쓴다. ○창구가 아물지 않은 초기 중풍에는 수조고처방3를 붙인다. ○수습이 들어가 입을 악다물고 몸이 강직된 경우에는 모려가루를 붙이고 아울러 감초탕에 모려 2돈을 넣어 마신다. ○땀을 낸 뒤에 치병이 되기 쉬운데, 방풍당귀산처방4을 쓴다. ○애초에 몸이 뒤로 젖혀지며 곧 죽을 것 같은 경우에는 전갈 꼬리와 천마를 가루 내어 2돈 씩 두림주에 타서 복용시켜 담을 삭이고 막힌 것을 연다. ○망혈로 인한 치병에는 당귀지황탕처방5을 쓴다. ○파상풍에는 전갈 꼬리 7개를 가루 내어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 파상풍은 이 처방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년도
미상
기타
1권 1책(207면/10행24자)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