回春虛人截宜用, 一切可截. 人蔘ㆍ白朮ㆍ白茯ㆍ當歸ㆍ靑皮ㆍ厚朴ㆍ柴胡ㆍ黃芩ㆍ知母ㆍ常山(酒浸)ㆍ草果ㆍ鱉甲(醋炙) 各八分, 桂枝ㆍ甘草 各三分, 薑三片, 棗二枚, 梅一箇, 桃仁七箇. 煎, 露一宿, 臨發日五更, 空心服. 渣再煎朝時服, 糖拌烏梅下藥, 忌ㆍ魚ㆍ豆腐ㆍ麵食ㆍ熱物.《寶鑑》 《회춘》 허한 사람의 학질을 차단할 때는 이것을 써야 한다. 모든 학질을 멎게 할 수 있다. 인삼ㆍ백출ㆍ백복령ㆍ당귀ㆍ청피ㆍ후박ㆍ시호ㆍ황금ㆍ지모ㆍ상산(술에 담근 것)ㆍ초과ㆍ별갑(식초에 축여 구운 것) 각 8푼, 계지ㆍ감초 각 3푼, 생강 3쪽, 대추 2개, 오매 1개, 도인 7개를 넣어 달인다. 하룻밤 밖에 두었다가 발작하는 날 새벽에 공복에 먹는다. 찌꺼기를 다시 달여 아침에 먹은 후에 엿으로 버무린 오매를 먹어 약이 내려가게 한다. 닭고기ㆍ생선ㆍ두부ㆍ밀가루 음식ㆍ뜨거운 것은 먹으면 안 된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