耳聾, 有左耳聾者, 有右耳聾者, 有左右耳俱聾者, 總而言之則忿怒致耳聾者爲多, 厥陰少陽火多故也. 《丹心》 ○凡治諸聾, 必先調氣開鬱, 故用磁石羊腎丸, 以開關竅. 蓋聾皆痰飮鬱結, 非磁石鎭墜, 烏 桂 椒 辛 菖蒲, 辛散流通則老痰鬱結, 何由而開愈. 《入門》 ○人耳中有津液, 若風邪搏之則津液結硬, 成核塞耳, 亦令暴聾, 謂之耳. 熱聚不散, 膿汁出焉, 謂之膿耳. 《寶鑑》 ○諸蟲入耳不出, 持兩刀於耳門上, 相磨敲作聲, 蟲聞聲自出. 《本草》 ○藍靑汁滴耳中, 蟲自死出. 《得效》 이농의 종류로는 좌측 귀가 먹은 경우, 우측 귀가 먹은 경우, 좌우측 귀가 모두 먹은 경우가 있다. 이를 총괄하여 말하면 분노 때문에 귀가 먹은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것은 궐음과 소양에 화가 많기 때문이다. 《단심》 ○여러 가지 귀가 먹은 경우의 치료에는 반드시 먼저 기를 조절하고 울체를 풀어야 하므로 자석양신환으로 구멍을 열어주어야 한다. 귀가 먹은 경우는 모두 담음이 울결된 것이다. 자석으로 눌러주고, 천오 계지 천초 세신 창포의 매운맛으로 흩어 주어 잘 통하게 하지 않으면 노담 울결을 어떻게 풀어서 낫게 하겠는가 《입문》 ○귓속에는 진액이 있는데, 풍사가 들어오면 진액이 단단하게 뭉치고 멍울이 되어 귀를 막아 갑자기 귀가 먹게 된다. 이것을 정이(耳)라고 한다. 열이 흩어지지 않고 고름물이 나오는 것을 농이(膿耳)라고 한다. 《보감》 ○여러 가지 벌레가 귀에 들어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귓문위에서 2개의 칼을 서로 갈고 부딪혀 소리를 내면 벌레가 그 소리를 듣고 스스로 나온다. 《본초》 ○쪽물을 귓속에 떨어뜨리면 벌레가 저절로 죽어서 나온다. 《득효》
년도
1922
기타
6卷3冊: 圖, 四周雙邊 半郭 20.3 x 15.2 cm, 有界, 10行22字 註雙行, 上下白口, 上下2葉花紋魚尾; 29.2 x 19.5 cm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