耳聾屬腎虛, 六味丸, 加遠志ㆍ石菖浦ㆍ知母ㆍ黃柏, 亦治陰虛聾, 通用磁石羊腎丸. 《寶鑑》耳門 外用驢脂, 蛇膏, 黑尿, 龜尿, 肪, 幷入耳中. 《諸方》 腎兪, 年壯, 百會, 七七壯, 三里, 五十壯, 聽宮, 聽會, 各三壯, 耳門七壯. 《針灸》 風熱聾, 防風通聖散. 《寶鑑》風門 仍忿怒者, 當歸龍會丸. 《寶鑑》五臟 氣脫者, 補中益氣湯, 加石菖浦ㆍ白茯令ㆍ知母ㆍ黃柏幷鹽水炒. 立齋云, 血虛陰火而聾者, 四物湯, 加柴胡ㆍ山梔. 方見上 仍色慾火動而聾, 滋陰地黃湯, 傷厚味聾鳴, 淸聰化痰丸. 《寶鑑》耳門 귀가 먹은 것은 신허(腎虛)에 속한다. 육미환에 원지ㆍ석창포ㆍ지모ㆍ황백을 더하는데, 음이 허하여 귀가 먹은 것도 치료한다. 자석양신환을 두루 쓴다. 《보감(寶鑑)》 이문(耳門) 겉에 쓰는 것으로는 나귀 기름ㆍ뱀의 기름ㆍ검은 고양이 오줌ㆍ거북이 오줌ㆍ기러기 기름 등을 모두 귓속에 넣어준다.《제방》 신유에 나이 수대로, 백회에 49장, 삼리에 50장, 청궁과 청회에 각 3장, 이문에 7장의 뜸을 뜬다.《침구》 바람과 열로 귀가 먹었을 때는 방풍통성산을 쓴다.《보감(寶鑑)》 풍문(風門) 분노로 귀가 먹었을 때는 당귀용회환을 쓴다.《보감(寶鑑)》 오장(五臟) 기가 빠졌을 때는 보중익기탕에 석창포ㆍ백복령ㆍ지모ㆍ황백(모두 소금물에 볶은 것)을 더하여 쓴다. 설입재가 말하길, 혈이 허하여 음화가 상승해서 귀가 먹었을 때는 사물탕에 시호ㆍ산치자를 더하여 쓴다. 처방은 앞에 나온다. 색욕으로 화가 동하여 귀가 먹었을 때는 자음지황탕을 쓴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 귀가 먹고 소리가 날 때는 청총화담환을 쓴다.《보감(寶鑑)》 이문(耳門)
년도
1790
기타
4(4)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