痢疾新得氣盛者, 桃花摘取陰乾, 白米粉, 香油煮餠, 一二片服. 腹脹, 尤妙. ○新者, 注下久者, 溫補. ○痢疾, 쇠이플乾末, 溫酒調服. ○烏三首, 勿去毛, 煎服. ○痢疾百治而不效, 用艾溺蒸, 則無不見效. 其法. 陳艾數級, 沈於陳久雜溺, 而以石平面者판판고납족돌이라, 埋於熱火中, 乘其石熱, 出置廳上或房中, 以沈溺之陳艾安於石上. 又鋪木中於艾上, 使病人坐其上, 熏蒸其肛門, 則口鼻中亦出溺艾之臭, 一二日爲之, 則神效. 〈舟〉 ○撫州商人, 病痢甚危, 太學生倪某, 用當歸末 阿魏, 丸之, 白滾湯送下, 三服卽愈. 〈重出〉 ○黃花地丁蒲公英, 俗名뮈음드레, 取自然汁, 酒一盞, 加蜜少許, 服之, 甚效. 이질이 처음 발생하여 기가 성할 때는 복숭아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 다음 쌀가루와 함께 참기름에 지져 떡을 만들고 1-2개를 먹는다. 배가 불러 오르는 병증에 더욱 신기한 효과가 있다. ○처음 발생하였거나, 오래된 주하리(注下痢)에는 온보해야 한다. ○이질에는 쇠뜨기풀을 말려 가루내고 따뜻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까마귀 3마리를 털을 뽑지 말고 삶아 복용한다. ○이질에 여러 가지 처방이 듣지 않을 때는 쑥과 오줌으로 훈증하면 효과가 나지 않는 경우가 없다. 방법. 묵은 쑥 몇 두름級을 여러 사람이 눈 오래 묵은 오줌[雜溺]에 담근다. 그런 다음 평평한 돌(평평하고 납작한 돌이다)을 뜨거운 불 속에 묻고 돌이 달구어져 열이 나면 꺼내어 대청마루나 혹은 방 안에 놓고는 앞의 오줌에 담근 쑥을 돌 위에 놓는다. 다시 나무를 쑥의 중간에 얹고는 환자가 그 나무위에 앉아 항문에 그 열기를 쐬게 한다. 그러면 환자의 입과 코에서도 오줌에 담갔던 쑥의 냄새가 나게 되는데, 이렇게 하루나 이틀 동안 행하면 신통한 효과가 있다. 〈주〉 ○무주(撫州)의 어떤 상인이 이질을 알아 매우 위태롭게 되었는데, 태학(太學)에서 공부하는 어떤 학생이 당귀가루와 아위로 환을 만들어 팔팔 끓인 물로 복용하게 하였는데, 3차례 복용하자 즉시 나았다. 〈중출〉 ○황화지정(黃花地丁)포공영(蒲公英), 민간에서는 민들레라고 한다을 찧어 즙을 내고 술 1잔에 넣고 꿀을 약간 더하여 복용하면 매우 효과가 좋다.
년도
1871
기타
5권 5책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