貧家遇虛症, 而難辨蔘料, 以此代用. 雖能辨蔘, 素稟血燥, 肺經有火, 難眼蔘料者, 亦宜. 陳 一隻, 去筋膜皮骨, 及頸與脊, 只取肩脚, 及服下堅肉, 入生桔梗 一條, 生薑 二兩, 官桂 五錢, 山査 二十箇, 黃栗 十箇, 如法作膏. ○血燥, 加白芍藥(酒炒黃) 一錢. ○陽虛, 加附子 一二錢. ○氣虛感氣, 及房勞挾感, 補瀉兩難. 忍冬 三錢或五錢, 生薑 一兩, 山 十箇, 生栗 九箇, 生桔梗 一條. 同作膏用. ○材料加減, 全在法.《濟衆》 가난한 사람이 허증이 생겨 인삼 같은 약재를 구하기 어려울 때 이것을 대신 쓴다. 비록 인삼 같은 약재를 구한다 하더라도 본래 혈이 조하고 폐경(肺經)에 화가 있어서 인삼 같은 약을 먹기 어려울 때에도 쓰는 것이 좋다. 묵은 닭 1마리(내장, 껍질, 뼈, 목, 등뼈는 버리고, 날갯죽지와 다리, 배아래 살만을 바른 것을 넣는다), 생길경 1줄기, 생강 2냥, 육계 5돈, 산사 20개, 누런 밤 10개로 보통 하는 방법대로 고를 만든다. ○ 혈이 조한 데는 백작약(술로 축여 누렇게 볶은 것) 2돈을 더 넣어 쓴다. ○ 양이 허하면 부자 1∼2돈을 더 넣어 쓴다. ○ 기가 허하여 감기에 걸린 것과 성생활이 지나쳐 감기에 걸려 보하거나 사하기가 모두 어려울 때는 인동 3돈이나 5돈, 생강 1냥, 산사 10알, 생밤 9알, 생길경 1줄기를 닭고기와 한데 섞어 고를 만들어 쓴다. ○ 약재를 가감하는 것은 전적으로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제중》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