綱目如無雄黃, 取雌黃, 付之. ○白礬火上熔汁, 滴咬處. 無白礬, 速作艾灸五壯. ○汁, 和雄黃作, 候乾爲末, 貼瘡口, 毒水流出, 腫消. ○本草獨頭蒜, 或小蒜, 或豆葉, 荏葉, 搗汁飮, 以滓付之. ○丹心人屎付之.《寶鑑》 《강목》 웅황이 없으면 자황을 붙인다. ○ 불에 녹인 백반즙을 물린 곳에 떨어뜨린다. 백반이 없으면 재빨리 쑥뜸을 만들어 뜸을 5장 뜬다. ○ 상추의 즙을 웅황에 섞어 떡을 만들고, 말려서 가루 내어 창구에 붙이면 독물이 나온 뒤에 부은 것이 사라진다. ○ 《본초》 외톨마늘이나 달래나 고거(苦)나 깻잎을 찧어 즙을 마시고, 그 찌꺼기를 상처에 붙인다. ○ 《단심》 사람 똥을 붙인다. 《보감》
년도
1868
기타
12(6)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