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제철수산물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명태
  • 명태

    분류/제철 어류/12月경
    1회제공량 60g 열량 48kcal
    탄수화물 0g 단백질 10.5g
    지방 0.42g 당류 0g
    나트륨 79.2mg 콜레스테롤 34.8mg
    포화지방산 0.09g 트랜스지방산 0g
    영양성분표 <명태, 생것>

h2mark 소개

대표적인 흰살 생선인 명태는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좋다. 칼슘은 다소 적은 반면 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명태살에는 비타민 B가 풍부하며, 간에는 지방과 비타민 A 및 D가 많다.

명태의 필수아미노산은 간을 보호하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 숙취해소에 좋은 성분인 리신과 트립토판도 풍부한데, 이 성분들은 성장기 어린이의 두뇌발달이나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명태는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주름을 방지하는 나이아신과 레티놀, 노화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비타민 E가 살과 알 등에 풍부하게 들어있어 노화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h2mark 다양한 이름을 가진 ‘명태’ 어식백세(魚食百歲)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이자 대구과 물고기인 명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러시아, 일본의 주요 수산물로, 주낙이나 그물을 이용해 잡고 연중 대부분의 시기에 포획이 이루어진다.

몸은 가늘고 길며, 전체에 특이한 무늬가 덮여있고 머리가 큰 편으로, 대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대구보다 홀쭉하고 길쭉한 모습이다. 수온이 1~10℃인 찬 바다에 사는데, 연령에 따라 서식 장소가 다소 차이가 난다.

산란기는 11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이고, 보통 한마리가 낳는 알 수는 25만∼40만개 가량이다. 수명은 약 12~16년 정도이다. 과거에는 함경도와 같은 추운 지역이 아니면 생물 명태를 맛보기 어려웠다.

그래서 명태가 대부분 건조된 상태로 유통되었기 때문에, 함경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명태를 북어로 먹을 수 밖에 없었다. 지금은 유통과 보관기술이 좋아져서 생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태의 명태를 즐길 수 있다.

명태는 보관방식, 잡힌 시기 및 장소, 습성에 따라 생태, 동태, 북어(건태), 황태, 코다리, 백태, 흑태, 깡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생태는 싱싱한 생물 상태를 이르며 동태는 얼린 것, 북어(건태)는 말린 것이다.

황태는 한 겨울철에 명태를 일교차가 큰 덕장에 걸어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고 녹기를 스무 번 이상 반복해 노랗게 변한 북어를 말한다. 얼어 붙어서 더덕처럼 마른 북어라 하여 더덕북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코다리는 내장과 아가미를 빼고 4~5마리를 한 코에 꿰어 말린 것이다. 그 밖에 하얗게 말린 것을 이르는 백태, 검게 말린 것을 이르는 흑태, 딱딱하게 마른 것을 이르는 깡태 등이 있다. 성장 상태에 따라 어린 명태를 애기태, 애태, 노가리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수많은 이름들이 있다.

명태의 다양한 이름

명태는 속담에도 대거 등장한다. 말이 많거나 거짓말을 “노가리 깐다”고 하는 말은 명태가 한 번에 새끼를 많이 낳기 때문에 생긴 속담이다.

이것이나 저것이나 매한가지라는 의미의 ‘동태나 북어나’, 몹시 인색한 사람을 조롱할 때 쓰는 ‘명태 만진 손 씻은 물로 사흘 동안 국을 끓인다’, 변변치 못한 것을 주고 큰 손해를 입힌다는 뜻의 ‘북어 한 마리 주고 제사상 엎는다’ 같은 속담도 널리 쓰인다.

‘눈에 명태 껍질이 덮였다’는 속담도 있다. 제대로 보아야 할 것을 또렷이 못 보고 흐리멍덩하게 본다는 뜻이다. 이는 명태 껍질은 아주 얇지만 창호지처럼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명태는 굿판, 고사판에 사용되고, 대문 문설주 위에 복을 빌기 위해 매달아 놓는 등 어디서나 쉽게 발견되는 우리와 매우 친근한 물고기이다.

우리 조상들은 오래 전부터 명태를 널리 애용하였는데, 특히 관혼상제에 빠져서는 안 될 귀중한 생선으로 여겼으며 조선시대에는 궁녀의 월급이나 군량품으로 지급되기도 하였다. 그만큼 명태는 한반도에서 흔하고 많이 잡히는 물고기였다.

해방 전인 1942년 조선에서 명태의 전체 어획량은 22만톤에 이르렀으나 어린고기 포획, 해양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1950년 남한에서의 어획량은 연간 1만~2만톤으로 줄고 2007년엔 35톤이 되더니 현재 상업적 어획이 불가능한 상태로까지 자원이 감소하여 국내에서 소비되는 명태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명태자원 회복에 앞장서고 있으며, 2016년 세계 최초로 완전양식기술을 개발하고 매년 어린명태 방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명태 방류효과 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해수부는 강원도, 강릉원주대 등과 함께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해수부 등은 이후 2015년 1만5000마리, 2016년 1000마리, 2017년 30만마리의 명태 인공 종자(치어)를 방류했다. 2017년 방류된 인공 종자는 2016년 10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명태 완전 양식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된 것이다.

명태 자체도 단백질과 칼슘, 철분,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영양식품이지만, 황태는 명태보다 단백질 및 칼슘·인·칼륨과 같은 무기질 함량이 두 배로 늘어난다. 황태에는 간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메티오닌이 풍부해 알코올을 분해하고 간의 독소를 빼는 효과가 있어 피로회복과 해장음식으로 좋다.

명태는 생태로 먹기도 하고, 냉동, 말림, 소금절임을 해서도 먹는다. 지리, 매운탕, 찌개, 알탕, 생태김치, 창란젓, 명란젓, 식해, 전, 완자 등 다양한 요리법으로 조리된다.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