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월칠석은 명절은 아니였으나 밤하늘에 비낀 견우성과 직녀성의 움직임을 살펴보면서 즐기는 날이였다. 옛날부터 《칠월칠석(음력 7월 7일)》수단이요, 팔월추석 송편이라고 하였는데 칠석날에 수단을 해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일러왔다.
칠석날 저녁이면 집집마다 수단을 만들어 저녁밥을 일찌기 먹고 토방이나 앞마당에 펴놓은 멍석우에 둘러앉아 할아버지, 할머니들로부터 견우와 직녀에 대한 전설을 들으며 별들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견우성과 직녀성에 대한 전설은 지방마다 다르며 사람마다 흥미를 돋구려고 이야기를 덧붙이다보니 그 종류가 많았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간단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았다.
아득한 옛날 하늘나라에 소를 기르는 견우라는 총각과 천을 짜는 직녀라는 처녀가 살고있었는데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다. 그들이 사랑에 빠져 일을 게을리하는것을 눈치챈 옥황상제는 은하수를 가운데 두고 견우를 동쪽에, 직녀를 서쪽에 갈라놓고 한해에 한번씩 7월 7일에만 만날수 있게 허락하였다.
7월 7일이 되면 그들의 상봉을 도와주기 위해 땅우에 있는 까막까치들이 모두 하늘로 올라가서 은하수에 다리를 놓아주었는데 이 다리를 《오작교》라고 하였다. 견우와 직녀는 이 다리를 건너서 서로 만나 쌓였던 정을 나누었다.
사람들은 칠석날 밤에 비가 오면 그것은 견우와 직녀가 오래간만에 만나 기쁨에 겨워 흘리는 눈물이고 다음날 새벽에 비가 오면 서로 헤여지기 아쉬워 흘리는 리별의 눈물이라고 말하군 하였다.
아이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신기하게 들으며 밤하늘에서 견우성과 직녀성을 찾으며 바라보군 하였고 처녀들은 직녀성에게 바느질과 수놓이솜씨가 늘게 해달라고 빌었으며 총각들은 견우직녀를 주제로 하여 시를 짓기도 하였다.
견우직녀전설이 고구려의 덕흥리무덤벽화에도 있는것으로 보아 칠월칠석맞이풍습은 5세기 초 이전부터 년년이 계승되여 왔다는것을 알수 있다. 칠석날의 이러한 풍습은 옛날부터 아이들에게 천체에 대한 상식과 탐구심을 키워주며 남녀간의 사랑에서 신의를 가지고 대하도록 하는데서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