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울산음식 이야기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9. 조갯국, 몰
  • 이동

h2mark ‘몰’을 아십니까?

울산의 바다에는 해초의 종류가 많고, 그 양도 풍부했다. 미역, 김과 같이 널리 알려진 해초 외에도 알려지지 않은 해초가 많다. 그 중 엄청난 양을 자랑하던 해초도 있었다. 바로 몰이다. 몰은 모자반, 진저리 같은 해초를 두루 아우르는 울산말이다. 한 신문에 몰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

북구 양정동에 사는 팔순 할머니도 이 ‘몰’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었고 장에 내놓으면 인기가 좋았다고 했다. 건너에 처용암이 보이는 처용 마을 노인분도 외황강 하구에는 이 잘피가 많아 물이 빠지면 배가 나아 가기도 힘들었다고 한다.106)

외항강 하구는 배가 나가기 힘들 정도로 몰이 많았다고 한다. 사진작가 서진길도 몰이 많았다고 회고하기도 했다.107) 몰은 온산에서 달동까지 울산의 바다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언제든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몰을 먹으려면 겨울이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늦가을부터 겨울까지 생산되기 때문이다. 가장 수요가 많은 시기는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을 맞아 각종 나물을 해 먹는데 몰나물도 빠지지 않는다. 몰을 된장에 무쳐서 나물로 만들어 먹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싼 가격에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술안주로도 좋았던 듯하다.『울산방언사전』에 몰에 대한 기억을 담은 예문이 나온다.

“술 안주라고는 모자반 나물뿐이 더라.108)” 나물, 술안주뿐만 아니라 늘 허기졌던 아이들의 고픈 배를 달래 주기도 했다. 배고픈 아이들이 하루 종일 껌을 씹듯 몰을 씹고 다녔다는 것이다. 아래의 두 글은 하루 종일 씹고 다녔던 몰에 대한 추억이다.

몰뿌랭이 친구

울산에는 뭐가 있었냐면 몰이라꼬 있었어. 염생식물. 그때는 많이 있었는데 한 껍질을 벗기면 한 쪽에 비니루처럼 돼있고 한쪽에는 풀이 좀 있어. 그러면은 그거를 까먹고 쭉 빼가지고 우리는 요래 불고 불면 풍선처럼 이래 되거든. 그라면 이거를 쪼끔씩 입에 물고 손에 쥐고 딱딱 이러면 풍선 터지듯이 딱딱나거든.

그래 우리는 그 재미로 몰을 가지고 놀았자 요즘에는 그게 없잖아요. 그래 우리 친구들 모이면 몰 먹었던 몰뿌랭이 친구 이라거든. 그때 그기 마간식처럼 좋았거든. 그거를 팔기도 했어요. 사먹기도 하고 그게 원창 많이 나니까. 그게 어디서 나냐하면 저기 조개섬, 바다에서 나는 거예요.109)

김득선 (여 1931년생), 달동 출신

입을 검게 만드는 몰

왜정 때는 먹을 게 없으니까 바닷가에 나는 몰이라는 게 있어. 그 거 물에 들어가면 뜯어가 하루 종일 씹고 나면 입이 검고 이랬어.110)

노용택 (남 1931년생), 온산읍 출신

울산의 바다에서 몰이 흔하게 났기 때문에 온산과 달동의 기억이 유사하다. 그래서 그들은 몰을 함께 씹었던 친구라는 의미로 몰뿌랭이 친구라고 한다. 그러나 몰은 이제 쉽게 볼 수 없는 해초가 되었다. 지금은 사라져 버린 조개와 몰을 누군가가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지금은 씨도 없이 사라져 숨이 막혀온다”111)

몰과 조개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짧지만 인상 깊은 문장이다. 숨이 막힐 정도로 그리운 울산의 음식인 것이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자료출처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자료출처 바로가기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
 X 
로그인 메세지
ID
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