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240g(1 1/3컵), 아욱 200g, 쌀뜨물 1.6L(8컵), 된장 3큰술, 고추장 2작은술, 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1/2작은술, 마른 새우 50g
Step 1.
1. 쌀은 씻어서 물에 담가 불려 놓는다.
Step 2.
2. 아욱은 거센 줄기는 꺾어 버리고 주물러 씻은 다음 건져서 물기를 뺀다.
Step 3.
3. 쌀뜨물에 된장과 고추장을 풀고 마른 새우를 넣어 끓인다.
Step 4.
4. 끓으면 아욱을 넣고 다진 파, 마늘을 넣는다.
Step 5.
5. 4 가 한창 끓을 때 불린 쌀을 약한 불에서 쌀알이 푹 퍼지도록 끓인다.
조리 설명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나오는 아욱죽 끓이는 법을 살펴보면, “아욱은 파루초라고도 하니 전에는 국을 끓일 때 아욱을 박박 으깨어 푸른 즙을 여러 번 씻어 버리고 쑤어 국물이 걸쭉하고 푸른빛이 났는데, 요즘은 다듬은 후에 으깨지 않고 그냥 씻어서 끓여 국물이 맑고 좋다. 먼저 맛 좋은 된장에다 고추장을 조금 섞고 걸러 부은 후에 연한 기름 고기를 썰고 파와 기름을 치고 중새우를 헝겊에 싸서 방망이로 두드려 넣고 곱창은 익혀 썰어 넣는다. 넙치를 토막 쳐서 넣기도 한다. 아욱이 몸을 보한다 하여 시골에서는 산모가 미역 대신 아욱을 먹는다.”라고 하였다.
조리 참고
지역별 레시피 바로가기
서울•경기 [398]
강원 [299]
충북 [201]
충남 [237]
경북 [404]
경남 [448]
전북 [218]
전남 [411]
제주 [305]
전국상용 [328]
合 : 3,249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는 국가 산업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전통향토음식의 권리를 확보하고 세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 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9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각 지방(3,249)의 전통 향토 음식 조리법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