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향토레시피(남쪽)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카테고리 떡류 > 떡류
    조리분류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지역 제주
    IPC A23L, A21D,
    문헌
    조리시연 나임순,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레시피 기초

요리 재료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식재료
메밀가루 5컵, 반죽물 1.6L(8컵), 무 800g(1개), 쪽파 100g, 소금 1작은술, 깨소금 1작은술, 참기름 2작은술, 식용유 적량
Step 1.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레시피 조리순서 1-0
1. 메밀가루는 미지근한 물로 아주 묽게 소금 간하여 반죽한다.
Step 2.
2. 무는 굴게 채 썰어(5×0.3×0.3cm) 푹 삶은 후 물을 꼭 짜두고, 쪽파는 송송썬다(0.3cm).
Step 3.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레시피 조리순서 3-0
3. 2에 참기름, 소금, 깨소금을 넣어 살짝 무쳐 소를 만든다.
Step 4.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레시피 조리순서 4-0
4. 팬에 식용유를 둘러 약한 불에서 메밀 반죽을 지름 20㎝ 크기로로 얇게 지져 낸다.
Step 5.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레시피 조리순서 5-0
5. 접시에 4를 펴고 3의 소를 한쪽에 가지런히 놓고 김밥 마는 것처럼 돌돌 말아 양끝을 손으로 꾹 누른다.
Step 6.
빙떡(멍석떡, 쟁기떡, 전기떡) 레시피 조리순서 6-0
6. 마무리하여 접시에 예쁘게 담아낸다.
조리 설명
ㆍ현재는 크기를 10cm 크기로 만들어 먹기 좋게 하고 있다.
ㆍ옛날 제주의 여인네들이 제사집에 갈 때 제물로 이 빙떡을 한 소쿠리씩 지져서 가지고 갔다.
ㆍ무채 대신에 팥을 쪄서 소로 넣기도 한다. 메밀 반죽을 부꾸미 정도보다 되게 하여 만두 모양처럼 빚어 찌는 법도 있는데, 이것을 메밀만두떡이라 한다.
ㆍ분쇄기 등에 엿기름이나 콩가루를 간 다음 메밀가루를 갈면 가루가 풀어져 빙떡이 잘 되지 않으며, 빙떡을 지질 때 감귤이 옆에 있거나 보관 중인 메밀가루 옆에 감귤이 있어도 접착성이 떨어져 빙떡의 전병이 찢어지기 쉽다.

빙떡의 주재료인 메밀은 거피작업이 힘들고 그로 인해 소화가 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서 조상들은 여기에 무채나물을 넣어서 먹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메밀은 버릴 것 없는 제주의 대표적 구황작물이 되었다.

빙떡의 속을 채우는 내용물은 가을부터 겨울, 초봄까지 무가 제철이라 반드시 무채나물을 만들어 넣는데 이때 쪽파와 소금 이외에는 별도의 양념을 하지 않는다. 여름철에는 무가 맛이 없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팥고물을 넣거나 콩나물을 소로 이용하는데 요즘의 떡처럼 팥고물이 달거나 콩나물의 간을 세게 하지 않고 심심한 맛을 유지해야한다.
조리 참고
제주의 전통음식은 대부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메밀가루로 만든 묽은 반죽과 무채나물이 주재료인 빙떡은 토박이 제주사람들에게는 가장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음식이자 고향의 맛으로 꼽힌다. 예전에는 명절이나 제사 때면 반드시 상에 오르는 음식이었고 별미로 만들어 먹기도 했다.

빙떡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 무나물을 싸기 이전의 메밀전병을‘ 빙’이라 하는데 어떤 이는 국자를 빙빙 돌려가며 부친다고해서 그렇게 이름 붙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또한 빙떡을‘ 정기떡’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두고 혹자는 정지(부엌)에서 부쳐 먹는 떡이라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말하기도 하며, 제사상에 제물을 진설할 때 밑의 받침으로 빙을 사용하면서 그릇을 의미하는 정기떡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h2mark 지역별 레시피 바로가기

서울•경기 [398] 강원 [299] 충북 [201]
충남 [237] 경북 [404] 경남 [448]
전북 [218] 전남 [411] 제주 [305]
전국상용 [328] 合 : 3,249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는 국가 산업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전통향토음식의 권리를 확보하고 세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 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9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각 지방(3,249)의 전통 향토 음식 조리법을 담았다.
  • 자료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전통향토음식정보 •농사로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