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기름 4큰술, 잣가루 1작은술, 더덕(중간것) 150g(5뿌리)
<양념장> 간장 1/2큰술, 고추장 1 1/2큰술, 고운 고춧가루 1작은술, 다진 파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 설탕 1큰술, 깨소금 1큰술
1. 더덕 껍질을 벗긴 다음 이것을 반으로 갈라 방망이로 자근자근 얇게 두드린다.
2. 두드려 놓은 더덕에 참기름을 충분히 발라 큰 그릇에 포개어 잠시 둔다. 석쇠에 더덕이 타지 않도록 구워 낸다.
3. 양념장을 만들어 구워 놓은 더덕을 한 쪽씩 양념에 적셔 큰 그릇에 다시 포개어 놓았다가 2와 같은 방법으로 굽거나 팬에 굽는다.
4. 적당한 크기로 썰어 그릇에 담은 다음 잣가루를 뿌려 낸다.
더덕은 뿌리가 희고 곧게 쭉 뻗은 것이 좋으며 2-8월에 수확한 것은 약용으로 쓴다. 칼슘이 비교적 많고 사포닌류와 스테롤류가 많으며 알칼로이드의 일종인 콘도놉신(condonopsin)이 약용성분이다. 당질, 단백질, 지질, 티아민, 리보플라빈, 인, 철 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며 뿌리에 있는 사포닌과 잎에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함량을 낮추어 준다. 또한 한방 효과도 뛰어나 염증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유방염, 폐렴, 피부의 부스럼, 버짐을 치료하고 해열, 강장, 거담, 해독의 작용도 한다. 기관지염, 해수, 천식, 갈증에도 효과가 있어 건강식품의 좋은 식재료이다. 더덕으로는 더덕찜, 더덕장아찌, 더덕생무침, 더덕정과, 더덕누름적, 더덕튀김, 더덕자반, 더덕술 등의 음식을 만든다.
·양평의 용문산더덕구이도 유명하다.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는 국가 산업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전통향토음식의 권리를 확보하고 세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 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9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각 지방(3,249)의 전통 향토 음식 조리법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