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큰 시루에 5의 팥고물을 깔고 2의 찹쌀가루를 한 숟가락 올린 후 7의 완자를 놓고 다시 찹쌀가루를 얹어 덮은 다음 팥고물을 뿌려 덮고 우묵한 곳을 골라 다시 놓기를 세 켜 정도 해서 김이 오른 찜통에 올린다.
Step 9.
9. 15분 정도 찐 후 불을 줄여 5분 정도 뜸을 들인 후 한 켜씩 납작한 숟가락으로 들어 내 쟁반에 담고 남은 팥고물을 덮고 다시 면포를 덮어 식힌다.
Step 10.
10. 마무리하여 접시에 예쁘게 담아낸다.
조리 설명
이 떡은 궁중에서 임금 탄신일에 반드시 만들던 것으로,『정례의궤』『진찬의궤』등에 그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두텁떡은 쌀가루를 간장으로 간을 한 궁중의 대표적인 떡이며 본래 이름이 봉우리떡으로 한자로는 후병(厚餠)이라고 쓴다. 보통 시루떡처럼 고물과 떡가루를 평평하게 안치지 않고 떡의 모양을 작은 보시기 크기로 하나씩 떠 낼 수 있도록 소복소복 안치므로 이름을 그렇게 붙였다.『도문대작』에 서울의 시절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리 참고
지역별 레시피 바로가기
서울•경기 [398]
강원 [299]
충북 [201]
충남 [237]
경북 [404]
경남 [448]
전북 [218]
전남 [411]
제주 [305]
전국상용 [328]
合 : 3,249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
한국의 전통 향토음식 레시피는 국가 산업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전통향토음식의 권리를 확보하고 세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 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9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각 지방(3,249)의 전통 향토 음식 조리법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