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아차 1 근 부재료] [백두구인 4 전 부재료] [분초 3 전 부재료] [침향 0.5 냥 부재료] [한수석 0.5 근 부재료] [박하잎 4 장 부재료] [필징가 3 전 부재료] [사향 2 전 부재료] [천백약전 0.5 냥 부재료] [매화편뇌 3 전 부재료] [찹쌀 1 되 부재료]
조리법
1) 해아차 1근을 아주 곱게 갈아서 체에 친다. 2) 백두구인 4전을 곱게 갈아 가루를 낸다. 3) 분초 3전을 구워서 맷돌에 갈아 고운 가루를 낸다. 4) 침향가루 ① 침향 0.5냥을 쪼개서 3쪽으로 내어 아리(배) 안에 넣고 종이로 감싼 다음 재 속에 묻는다. ② 물을 뿌려 배가 익을 때까지 잿불에 굽는다. ③ 스며나온 배즙에 침향을 햇볕에 말려 갈은 고운 침향가루 3전과 사향을 섞어 개어 뭉쳐 빚는다. 5) 한수석가루 ① 한수석 0.5근을 숯불에서 붉은색이 날 때가지 굽는다. ② 박하잎 4장을 물에 담가 습기를 스며들게 하여 종이 위에 펴 놓는다. ③ 구워 낸 한수석을 박하잎 위에 놓고 싼다. ④ 한수석이 식으면 꺼내어 5전을 달아서 뇌자와 함께 간다. - 박하잎이 떨어진 후에는 이 뇌자법을 쓰지 못한다. - 뇌자가 없으면 뇌자 기운이 없어진다. 6) 필징가 가루 - 3전을 갈아서 곱게 가루를 낸다. 7) 사향가루 ① 사향 2전은 털을 제거하고 깨끗이 하여 간다. ② 앞에서 만든 침향 배즙 뭉친 것과 섞어 짓이겨 자기그릇이나 은그릇 안에 놓는다. ③ 종이를 풀칠하여 주둥이를 막고 바늘로 10여 개의 구멍을 뚫어 놓는다. ④ 약한 불에 은근히 쪼여 말려 갈아서 가루로 낸다. 8) 천백약전 천백약전 0.5냥을 가루로 내어 위의 4가지와 같이 자기그릇 속에서 골고루 섞어 저장한다. - 맛이 빠지지 않게 한다. 9) 매화편뇌가루 매화편뇌 3전을 한수석과 같이 갈아서 잘 섞는다. - 미뇌로도 사용할 수 있다. 10) 위의 모든 가루와 찹쌀 1되를 깨끗이 씻어 푹 삶아 섞는다. 11) 된죽과 같이하여 곱게 갈아 식혀 명주주머니에 넣어 진한즙을 짠다. 12) 약재가 단단하므로 방망이로 돌 위에 놓고 3,000~5,000번을 두드린다. - 많이 두드릴수록 더 좋으므로 천추고라는 이름이 붙는다. 13) 백단을 달여서 인탈을 만들어 발라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매달아 두었다 32일 되는 날 자기그릇에 넣어서 저장한다.
해아차 1근을 아주 곱게 갈아서 체에 쳐서 쓴다. 백두구인 4전을 곱게 갈아 가루를 낸다. 분초 3전을 구워서 맷돌에 갈아 고운 가루를 낸다. 침향 반 냥을 쪼개서 3쪽으로 내어 아리(배) 안에 넣고 종이로 감싼다. 재 속에 묻고 물을 뿌려 배가 익을 때까지 잿불에 굽는다. 침향을 햇볕에 말려 고운 가루로 하여 3전을 섞고 배즙으로 사향을 개어 뭉쳐 빚는다. 한수석(약용광물) 반 근을 숯불에서 붉은색이 날 때가지 굽는다. 박하잎 4장을 물에 담가 습기를 스며들게 하여 종이 위에 펴 놓는다. 구워 낸 한수석을 박하잎 위에 놓고 싼다. 식으면 꺼내어 5전을 재서 뇌자와 함께 갈아 나머지는 다음에 쓴다. 잎이 떨어진 후에는 이 뇌자법을 쓰지 못한다. 뇌자가 없으면 뇌자 기미가 없어진다. 다 태워 박하, 필징가 3전을 갈아서 곱게 가루를 낸다. 사향 2전을 털을 제거하고 깨끗이 하여 갈아서 쓴다. 우선 침향 배즙을 만들어 자기나 은기 안에 편다. 종이를 풀칠하여 주둥이를 막고 바늘로 10여 개의 구멍을 뚫는다. 은근한 불에 쪼여 말려 갈아서 가루로 하여 다시 잔 속에서 뜨겁게 말려 앞의 재료와 합하여 섞으면 그 향이 방안에 가득하다. 천백약전 반 냥을 가루로 하여 위의 4가지와 자기그릇 속에서 골고루 섞어 저장한다. 맛이 빠지지 않게 한다. 매화편뇌 3전, 미뇌로도 만들 수 있다. 한수석과 같이 갈아서 잘 섞는다. 찹쌀 1되를 푹 삶아 된죽과 같이하여 곱게 갈아 식혀서 붙인다. 명주주머니에 넣어 진한 즙을 짠다. 약재는 단단하므로 방망이로 돌 위에 놓고 3,000~5,000번을 두드리는데, 많이 두드릴수록 더 좋으므로 천추고라는 이름이 붙는다. 그 다음 백단목을 끓여낸 기름을 발라준 다음 틀에 찍어내어 바람이 통하는 곳에 2~3일 매달아 두었다가 자기그릇을 깨끗이 닦아서 그 속에 저장한다. 《거가필용》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